반응형
머니S | 2021.02.27 14:39
[머니 앤더 시티] 임대차계약 만기 때 하자분쟁… 판결은?
임대차계약 만료 시에 시설의 원상복구 문제로 임대인과 마찰을 빚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세입자는 생활하자라고 판단하지만 집주인이 부주의에 의한 파손이라고 주장해 복구비용을 청구하는 경우 전세금을 돌려받아야 하는 세입자 입장에선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조연빈 변호사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원상회복 범위와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지만 판례에 따르면 '임대차 개시 당시의 상태'가 기준이 된다"고 조언했다. 대법원은 세입자가 비용 32만6000원이 드는 전기시설의 원상회복 없이 명도한 경우 임대인이 1억2522만원 보증금 전액의 반환을 거부할 수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
조 변호사는 "주택 임대차의 경우 원상회복 범위가 상가점포 대비 작고 소송가액이 낮다 보니 비용과 시간이 더 드는 문제가 있다. 실제 재판에선 합의를 권유하는 경우가 많다"며 소송보다 합의가 원만한 해결방법임을 강조했다.
김노향 기자
반응형
'부동산뉴스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급 과잉인데...어쩔수 없이 '중형 오피스텔' 삽니다 (0) | 2021.03.09 |
---|---|
“주택용이냐 업무용이냐?” 헷갈리는 주거용 오피스텔 덜컥 샀다간 세금폭탄 [부동산360] (0) | 2021.03.09 |
[단독] ‘알박기 투기’에 허술한 법… 소규모 농지 일반인도 쉽게 취득 (0) | 2021.03.09 |
인플레이션 우려 속 ‘내 집 마련’ 해야할까… 전망은 '제각각' (0) | 2021.02.28 |
1인실·시간제 요금···공유오피스의 변신 (0) | 2021.02.28 |
2배 오른 전세가격...갈 곳 없어 위험부담 안고 담보 잡힌 집으로 (0) | 2021.02.28 |
전세금 상승세 주춤해졌지만… “다시 튀어오를 것" (0) | 2021.02.28 |
세무사도 포기한 양도세···"정부가 계산해 줘라" 부글 (0) | 2021.02.28 |